insight

insight

우리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Room Scheduling Software
사무실 관리가 필요한 지금

회의실 및 일정을 관리하고 낭비되는 시간을 줄여 줍니다.

View Details
Digital Contents
디지털 콘텐츠 배포와 관리 방안

기업에서 배포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최신화를 관리합니다.

View Details
Membership Service
브랜드의 유입과 충성도를
높이는 멤버십

사용자 경험에 따른 개인화로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을 찾아갑니다.

View Details
Electronic Document
전자 문서의 대면 및 비대면 서명과 보관

전자 문서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합니다.

View Details
Digital Contents
방문자를 맞이하는 스마트한 방법

기업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첫인상을 남깁니다.

View Details
Sales Supporting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현장 판매 지원

복잡한 고객 응대를 쉽고 스마트하게 도와드립니다.

View Details

Digital Contents 디지털 콘텐츠 배포와 관리 방안

Membership Service 브랜드의 유입과 충성도를 높이는 멤버십

Electronic Document 전자 문서의 대면 및 비대면 서명과 문서 보관

Digital Contents 방문자를 맞이하는 스마트한 방법

Sales Supporting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현장 판매 지원

Room Scheduling Software

사무실 관리가
필요한 지금

Handly
Handly
Handly
Handly

우리는 오늘도 복잡한 일정 속에서
회의실 예약을 놓치거나
끝나지 않는 시간을 무작정 기다립니다.

붐비는 시간대를 피해 약속을 잡고, 세련된 방법으로 일정을 공유하고, 답답했던 회의실 사용법을 바꿔 계획적인 하루를 보내길 꿈꿉니다. 하지만 별도의 예약 시스템이 없어 회의실 선정 문제로 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필요하지만 항상 부족한 회의실을 찾아다니며 일합니다. 회의는 길어도 예약은 짧아야 하니까.

Handly는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원하는 기간 동안, 원하는 회의실 수만큼 이용이 가능합니다. PC, 모바일 앱, 태블릿까지 다양한 디바이스로 언제 어디서나 빠르고 편하게 예약 및 일정 관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일정에 맞는 회의실과 시간을 찾아 주고 실시간으로 회의실 현황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별도의 설치 없이 규모에 상관없이 사용한 만큼만 합리적인 방식으로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서비스를 경험해 보세요.

체크인과 No-Show

회의실을 예약 후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공간은 낭비될 것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andly는 체크인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체크인 기능을 통해 회의실 예약이 취소되었음을 확인하여 No-Show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만약 No-Show가 발생한다면, 그 공간을 재활용해 활용도를 높여보고 시간을 절약하세요.

서비스 연동

Handly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Google Calendar와 Slack과의 연동 기능을 지원합니다. Google Calendar에서 일정을 예약하고, Slack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Handly에서 일정을 예약하고, Google Calendar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업무 툴과 함께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툴에 대한 도입 장벽이 낮으며, 누구나 손쉽게 예약할 수 있습니다.

인사이트 제공

일일이 이번주 회의 개수를 계산하거나 회의 시간을 분석할 필요가 없습니다. Handly는 감이 아니라 정확한 데이터로 일정 패턴을 분석해 엄선된 인사이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회의실이 언제 붐비는지 또 어떤 회의실이 인기 있는지, 평균 회의 진행 시간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유휴시간을 줄여보세요.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하고 활용하는 것은 자유니까요.

디스플레이 연결

handly 서비스는 예약 사이트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디스플레이와 연결해 회의실에 대한 일정 확인이 가능하며, 필요하다면 현장에서 바로 회의를 예약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세련된 회의실 안내 방법으로 활용하거나, 팀의 문화와 분위기에 맞는 테마를 설정해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테마, 전체 일정 확인, 커스터마이징, 현장 예약, 즉시 회의 시작 및 종료 등을 통해 더욱 특별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합니다.

Cases

Handly

Handly는 업무 외적으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리소스를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단순히 공간을 예약하고 일정을 확인하는 솔루션 그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에게 개인화된 알림을 제공해, 일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업무 외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감소함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인사이트에서 더욱 정확한 데이터로 일정 패턴을 분석해 완성도 높은 서비스를
경험합니다. 이로써 낭비되는 시간을 줄이고 확보한 시간을 중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Handly는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회의실 예약 및 일정 관리 등의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스마트워크 실현을 위해 노력합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려 합니다.
바로 당신이 원하는 모든 일정 관리 기능을 하나의 사이트 안에 담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일입니다. 모두를 위해 일정을 관리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Handly 예약

Handly 인사이트

Handly 디바이스

Digital Contents

디지털 콘텐츠 배포와
관리 방안

Mentor, 누구나 쉽고 빠르게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라이브러리
솔루션입니다.

콘텐츠를 중앙에서 관리・배포하는 방식으로, PDF와 Video 콘텐츠를 빠르고 신속하게 다양한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영업 담당자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활용되는 데이터 통계를 기반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합니다.

단순 콘텐츠 제공 이외에도 게시판을 통해 내부 커뮤니티에서 소통이 가능하며, 퀴즈 응시를 통한 교육 진행, 전자서명을 통한 확인 기록 증빙 등 다양한 부가기능이 제공됩니다. 또한 이 모든 서비스에 대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서버부터 개인 디바이스까지 최고 수준의 보안이 제공됩니다. 선택 사항에 따라 파일 공유 및 추출이 차단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형태로 모든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관리하여 앱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서비스합니다.

자료의 최신화

업로드하는 자료는 서버를 통해 제공되며, 각 자료에 대해 유효기간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를 토대로 해당 콘텐츠가 유효한 기간에만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업데이트가 되었을 때 기존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대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오프라인 문서 이용

라이브러리로 업로드되는 모든 자료의 수정/삭제 권한은 관리자에게만 제공되며, 사용자는 이를 멘토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운로드한 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Airprint를 활용한 무선 출력과 드로잉 기능 등 콘텐츠 활용 툴을 함께 제공되며, 제공되는 자료는 다시 고객에게 손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보안

Mentor 솔루션은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을 갖춘 Microsoft Azure Cloud 환경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Mentor Center를 통해 등록되는 모든 콘텐츠는 암호화되어 인증된 사용자만이 확인할 수 있으며, 퇴사 시 즉시 접근이 차단됩니다. Mentor는 기업과 개인 데이터를 완전하게 분리함으로써 기업의 리소스를 관리합니다.

통계

관리자는 사용자가 Mentor를 이용해서 얼마나 효율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Mentor Center를 통해 콘텐츠를 얼마나 받았는지, 보았는지, 얼마나 머물렀는지와 각 콘텐츠에 대한 평점까지도 확인할 수 있어 사내에서 배포되는 자료를 만들 때에도 양방향 소통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콘텐츠 생산/제공이 가능해집니다.

Cases

Mentor

SK케미칼

SK 케미칼은 Mentor를 이용하게 되며 디지털 브로셔를 통해 고객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몇 번의 디지털 브로셔가 열람되었는지 영업사원의 영업활동 정보는 마케팅 담당자가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며 제품 정보 및 영업사원 교육 자료를 실시간으로 전달합니다.

또한 실시간 퀴즈 응시 기능을 이용하여 PC에서 참여되었던 영업사원 테스트를 어디에서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응시하게 되면서 영업사원은 본사 출근을 축소하고 현장 영업을 강화하게 되었습니다.

Mentor EFB

JIN AIR

진에어는 Mentor를 운항승무원(파일럿)을 대상으로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30kg에 달하는 방대한 양의 Flight Bag을 iPad 1대로 대체하여 비행을 준비합니다. 운항승무원은 비행 전 날씨, 운항계획 등의 업로드된 콘텐츠를 확인하고, 바로 서명하여 확인합니다. 이는 국토교통부로 자료 제공이 되어 전자서명의 효력을 갖습니다.

이외에도 브리핑실에서 브리핑 전 자료를 Airprint로 인쇄하고, 공지사항/게시판 게시물을 통해 운항경험 등을 서로 소통합니다. 2018년 5월부터 도입한 진에어는 2021년 7월까지 단 한건의 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Membership Service

브랜드의 유입과 충성도를
높이는 멤버십

고객들은 다른 사람들과는
차별화된
'특별함'을 찾아
멤버십으로 유입됩니다.

과거 멤버십 프로그램은 소비자에게 적립 혹은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고객 경험 관리(CXM;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마케팅과 데이터 기반의 마케팅이 중요해지면서 단순 혜택 제공뿐 아니라 고객의 구매 패턴에 따른 상품을 추천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담은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멤버십 프로그램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멤버십에 가입하는 사람들만을 위한 혜택과 콘텐츠 그리고 그것을 소비하는 소비자들 간의 유대를 강화함으로써 브랜드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런 패러다임에 맞춰 멤버십 앱 서비스 또한 고객 개개인에게 특별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화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합니다. 연령, 성별, 거주 지역 등 기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접속 주기, 서비스 이용패턴, 구매 패턴 등 고객의 행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관리하여 마케팅에 활용하고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

멤버십 회원가입을 진행할 때나 멤버십을 사용하는 패턴을 수집하면서 고객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성별, 연령, 관심사 등 일반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멤버십에 유입되는 고객층과 타깃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멤버십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의 서비스 이용률과 푸시 알림 반응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을 그룹화하고 해당 그룹의 고객들에게 푸시, 이벤트 등을 선택적으로 전송합니다.

멤버십 이용 혜택
및 서비스

상품 자체에 대한 만족뿐 아니라 상품의 이용 및 사후 관리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브랜드의 상품을 구매해야만 이용할 수 있는 멤버십은 회원들에게 프라이빗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적 사용할 수 있도록 포인트와 쿠폰을 지급합니다. 이로써 브랜드 제품을 구입하지 않은 고객들과의 차별화된 경험을 얻어, 보다 '특별' 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합니다.

휴대폰 본인인증 로그인

회원가입이 요구되는 일반 서비스에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이 경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고, 특히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는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에 불편함을 겪어 가입 자체를 진행하지 않는 현상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이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휴대폰 본인인증을 이용하여 아이디와 비밀번호 없이 회원가입부터 로그인까지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본인인증을 진행하면 로그인이 유지되며, 간편 비밀번호나 디바이스 자체의 생체 인증 또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앱카드

지갑이 스마트폰으로 이전되면서 종이나 플라스틱 카드로 발급되었던 멤버십 카드는 이제 모바일에서 바로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앱 카드로 전환되었습니다.

일반적인 멤버십 앱에는 회원 한 명당 하나의 번호가 바코드 형태로 발급되는 1차원 코드가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1차원 코드는 번호가 갱신되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번호가 노출될 경우 타인이 새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QR코드나 매트릭스 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를 멤버십 앱 코드로 이용하면 도용하기 어렵고, 노출되더라도 멤버십 앱에서 시간제한(Time Out)을 두어 보안을 강화합니다.

Cases

이코오롱 멤버십

과거 운영 중인 eKOLON 멤버십은 사용자 입장에서 포인트, 쿠폰, 혜택 등 매장을 방문해야만 조회가 가능했습니다. 이런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온라인 채널 대비 오프라인 채널의 회원가입을 유치하고 고객 접점 채널을 이어주기 위해 모바일 앱을 도입하게 되었고, 고객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멤버십 및 브랜드 관련 정보를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20여 개의 브랜드를 아우르는 통함 멤버십으로 발전하였고 사용함에 불편이 없도록 멤버십 바코드를 하나로 제공하며 오프라인 쿠폰뿐만 아니라 온라인 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도 통합으로 안내함으로써 고객이 해당 서비스 내에서 멤버십과 관련된 사항들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렉서스 라운지

렉서스 회원만을 위한 프라이빗 멤버십을 제공합니다. 차량 정비내역, 전자 문서 등의 차량 관련 히스토리를 앱에서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며 번거로운 서비스 센터 예약 프로세스를 개선해 예약 가능한 시간을 앱에서 한 눈으로 확인하고 예약까지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객의 활동 정보는 담당 SC에게 전달되어 고객과의 상담이나 예약 확인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회원가입 시 수집된 고객 데이터 토대로 다양한 조건의 세그멘테이션을 진행하여 분류된 기준으로 사용자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특정 사용자 층에게 맞춤형 콘텐츠 및 푸시를 전송합니다. 구축된 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차량 생애 주기 및 관심사를 파악하여 고객에게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개인화 콘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벤틀리 멤버십

기존에는 업무, 홍보, 고객 관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오프라인으로 통해 진행하였습니다.

출고 고객에 대한 관리 역시 영업사원이 전화나 DM 등 마케팅 방법을 활용하여 고객 관리를 하였고 정비 예약 등 차량 관리에 해당하는 부분 역시 고객이 직접 서비스 센터에 전화를 해야만 예약을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멤버십 앱 서비스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행사 및 소식을 PUSH 알림을 통해 전달하고 보다 편리하게 서비스센터 예약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가의 차량을 출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혜택과 케어로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는 향상되고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만족도는 높아집니다.

Electronic Document

전자 문서의 대면 및 비대면
서명과 문서 보관

기업에서는 계약서, 증명서 등
다양한 종류의 문서들이
비즈니스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문서들은 인감 날인 등의 형태로 법적 효력을 갖게 됩니다. 이러한 문서들은 종이로 관리하게 되는데, 문서의 발행 및 파기 등의 많은 비용과 시간이 발생하게될 뿐 아니라 검색 및 참조 등 보관한 문서의 활용이 어렵습니다. 또한 종이 문서를 보관하기 위한 물리적인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문서 창고를 갖추는 등 유지 및 관리 비용도 발생합니다.

인터넷이 발달하고 전자 문서가 점차 보급됨에 따라 기업에서는 종이 문서를 전자 문서로 전환하기 위한 시도를 하게 되었습니다. 종이 문서 관리 비용 절감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자 문서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나 법적 효력이 필요한 경우 전자 문서는 법적으로 효력이 인정되지 않기에 전자 문서와 종이 문서를 동시에 보관 및 관리하는 곳이 많았습니다.

2020년 12월 전자 문서 및 전자거래기본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전자 문서도 법적 효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서면’이라는 표현은 종이 문서에 국한되지 않고 전자 문서도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서면으로 인정하게 되었고, 공인된 전자 문서는 센터에 보관하는 경우 종이 문서를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비효율적인 이중 보관에서 벗어나게 되었습니다.

전자 문서는 종이 문서 보다 비용적인 측면뿐 아니라 활용의 용이성이 높고, 비대면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과 신속성을 증가시킵니다.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물리적 공간 없이 파일을 보관할 수 있고, 백업(Back-up)을 통한 이중 보관으로 화재나 수해 등으로 인해 소실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보안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밀 유출이나 위・변조를 방지하는 등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시점확인 서비스 TSA

전자적으로 생성된 문서는 종이 문서보다 위변조가 쉽기 때문에 문서가 발급된 시점 이후에 위변조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수단이 필요합니다.

시점확인 서비스(TSA)는 법률적 증명과 문서의 위변조 방지를 위해 전자 문서가 생성되는 시점에 생성되며 변경된 문서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전자 문서의 정보(HASH)를 TSA에 보내면 해당 문서의 토큰이 발급되고 이 토큰을 통해 전자 문서에 표준화된 방식으로 주입하면 해당 문서에 타임스탬프(Time Stamp)가 생성됩니다. 이후 문서의 검증 단계에서 진본 문서 여부 확인이 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타임스탬프를 한 문서에 여러 개 발급도 가능하여 문서가 변경되는 모든 시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전자 문서에 TSA를 활용한다면 다양한 계약의 형태에서 문서의 안정성을 강화합니다.

비대면 전자서명

이전에는 대상의 승인이 필요한 경우 직접 찾아가 수기로 서명을 받는 방식으로 업무 처리를 해왔으나, 전자 문서에 서명하는 과정을 통해 인쇄, 방문, 스캔 등 불필요한 작업을 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종이에 펜을 이용하여 직접 서명하는 것과 같은 역할로,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등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에 손이나 전자 필기구로 직접 서명이 가능합니다.


또한 각 산업 분야에서 비대면이 확대되며 대상과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결제나 계약 등을 진행할 수 있는 니즈가 증가하였습니다. 본인이 직접 서명할 수 있는 전자 문서의 링크를 대상자에게 메일이나 문자 등으로 전송하여 직접 서명함으로써 안전하고 시간과 공간에 제약 없이 서명을 가능하게 합니다.

모바일 전자문서 확인

전자 문서는 기업에서 보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고객 등 대상자가 원할 때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자 문서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문서가 저장된 이후 고객에게 이메일, SMS, 메신저 등 링크로 보내 열람이 가능합니다. 이때 링크가 노출되더라도 문서 열람 전 암호 입력이나 본인인증 절차를 추가하여 타인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증권이나 계약서, 영수증 등 고객이 지속적인 확인과 보관을 원하는 전자 문서는 위 방식으로 전달하여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Cases

토요타 스마트 쇼룸 & 워크샵

토요타 및 렉서스는 자동차 전시 및 판매를 위한 쇼룸(Showroom)과 자동차 수리 서비스센터인 워크샵(Workshop)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쇼룸과 워크샵에서는 고객 정보와 차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PC 기반의 시스템을 사용하나, PC 기반이다 보니 고객의 서명을 받아야 하는 계약서나 명세서의 경우, 종이로 서명을 받은 후 스캔하여 보관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자 태블릿 기반으로 전자 문서 생성 및 서명을 진행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하게 메일을 보내고 고객에게 자료를 보여주는 수준이 아닌 고객과의 접점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고 수집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강력한 보안 환경에서 관리하기 위해 태블릿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쇼룸&워크샵을 개발하였습니다.

기존 프로세스에서 가장 변화된 점은 전자 문서를 이용하여 서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었습니다. 고객과 대면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비대면 서명 및 결제 기능을 제공하여 업무가 가능하게 되었고 개인화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업무를 진행하며 발생하는 모든 문서는 전자 문서로 전환되었으며 서명된 문서들은 모두 클라우드 기반의 보관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고객과 대면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 고객의 정보를 수집하고 계약, 결제를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렉서스 라운지

렉서스 멤버십 애플리케이션 렉서스 라운지에서 차량의 정비 이력과 함께 정비점검명세서 등 다양한 차량 관련 정보를 전자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렉서스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차량의 수리가 완료된 후 고객에게 정비점검명세서에 서명을 받습니다. 서명 받은 정비점검명세서는 고객에게 암호화된 링크를 메신저나 SMS로 전달하여 확인이 가능하지만 전송된 메시지를 삭제하거나 유실되는 경우 재확인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전자 문서를 통해 정비 시스템과 전자 문서 이력과 함께 앱에 연동하여 언제 어디서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Digital Contents

방문자를 맞이하는
스마트한 방법

손님이 방문했을 때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기업의 첫인상은 중요합니다.

방문객은 기업의 첫인상을 로비나 리셉션 데스크가 있는 입구에서부터 갖기 시작합니다. 기존에 많은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종이에 방문자 명부를 작성하는 방식은 개인 정보 노출이라는 큰 문제가 있었습니다. 본인의 이름과 소속 그리고 휴대폰 번호 등 정보를 수기로 작성할 경우 타인이 개인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본인의 정보를 입력하고 방문 등록을 완료하는 방법이 필요로 합니다.


팬데믹으로 인해 방문객의 정보를 기록하는 일이 필수적인 일이 되었습니다. 사전 문진표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설문을 종이로 작성하여 방문객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나,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관리하기가 어렵고 사람이 관리하기에 정보 누락 등 위험요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록들을 디지털로 저장하고 방문 제한 등을 시스템으로 관리하게 된다면 특정 시간에 방문한 사람들의 리스트를 확인하고 관리가 용이해집니다.

방문객 알림

방문객이 회사에 왔을 때 누군가의 안내 없이 방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문하는 시점에 문자나 앱의 알림을 통해 누가 방문했는지 확인이 가능하며, 사전 문진표에서 발열 등의 방문 제한 조건이 걸린 사람이 입장할 경우 알림이 오게 됩니다. 또한 방문객을 빠르게 맞이하거나 위험 요소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에서 종이에 본인의 개인 정보가 어떻게 기록되고 관리되는지 모른다는 점은 방문객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개인 정보가 유출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한 사람씩 등록하는 방식을 통해 개인 정보를 입력한 이후에는 다음 사람은 개인 정보를 볼 수 없게 됩니다. 종이에 표를 만들어두고 개인 정보를 작성해야 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리셉션에 배치된 태블릿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폰으로도 방문을 등록할 수 있고, 방문 전 사전에 등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데이터 수집 및 관리

회사에 방문하는 목적을 묻거나, 상황에 따라 문진표를 작성해야 합니다. 그 질문들을 기업 상황에 맞추어 커스텀 할 수 있고 NDA(기밀 유지 서약서)나 개인 정보 수집 동의서를 방문객들에게 서명 받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안전하게 저장합니다. 또한 개인 정보 같은 경우 수집한 이후부터 기간에 맞추어 파기함으로써 방문객들의 개인 정보 관리의 노력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빠른 체크인

방문객이 한 시간대에 몰리는 경우, 방문한 다수의 사람이 출입 명부를 작성하는 것을 오랫동안 기다리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디바이스를 배치하여 빠르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방문 전에 사전 등록 기능을 사용하여 방문 코드나 QR코드를 발급받아 더욱더 빠른 입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명찰 인쇄

방문객 입장 시 명찰을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를 함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회용 스티커 명찰이 익숙하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익숙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회의에 많은 인원이 방문했을 때 누가 누군지 알지 못해 이름을 부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문 등록과 동시에 프린터에서 스티커 명찰이 인쇄되고, 스티커 형식의 명찰을 옷에 부착하면 회의할 때 상대의 이름을 정확히 알 수 있고, 등록된 방문객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구별도 쉽게 됩니다. 명찰 디자인 역시 회사 브랜딩에 맞추어 다양한 커스텀이 가능합니다.

Cases

wassup

wassup은 사무실이나 작업장에 방문하는 방문객을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단순한 방문객 출입 관리 시스템 그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고객에게 제공되는 키오스크 애플리케이션은 입구를 깔끔하게 유지하고, 회사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해 하나의 브랜딩 요소로 작용합니다. 방문객은 다채로운 VX(Visiting eXperience)를 느끼며 자신도 모르는 사이 회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갖게 됩니다.

기존 종이에 작성하던 방문 신청서를 단순히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옮긴 것이 아니라, 플랫폼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방문객의 사진을 촬영하고, 전자 문서에 전자 서명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입증을 즉석에서 인쇄하는 방식 등으로 편리한 사용성과 새로운 경험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이런 방문 신청 흐름은 방문객마다 서로 다른 필요 사항을 빠짐없이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그리고 방문 차단이 필요한 방문객을 관리하거나 방문객의 동향을 파악하고, 재 방문객 또는 예상 방문객을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더 완성도 높은 접객 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Sales Supporting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현장 판매 지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감각을 사로잡아야 합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매출 증대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이 익숙하고 보편화된 현대인들의 구매 패턴을 오프라인 판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고객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면서 판매되는 제품뿐만 아니라 장소에 대한 경험도 함께 하게 됩니다. 매장 내에 대형 스크린을 설치하거나 태블릿, AI 카메라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고객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스크린에 영상으로 제품 홍보를 하는 것과 같은 단방향 마케팅(One-way Marketing) 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후의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고객이 매장에 입장해서 물건을 구매해 나가는 순간까지 고객의 행동을 데이터화할 수 있도록, 고객이 직접 입력한 본인의 데이터를 통해 큐레이션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고, 하드웨어 장비를 통해 독특한 구매 경험을 줄 수도 있습니다.

로컬라이제이션

다양한 국적의 고객을 맞이해야 하는 경우 서비스를 특정 국가나 지역의 문화, 법률, 언어 등에 맞게 작업하는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을 진행합니다.

외국인 고객을 응대해야 하는 경우 직원의 언어 역량이나 학습에 따라 응대 수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자가 다른 언어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언어나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정된 언어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언어의 진입 장벽을 낮추게 되면, 처음 이용하는 외국인도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전문적인 번역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양한 언어와 다량의 텍스트 번역이 필요한 경우 AI 번역 서비스를 이용하여 쉽게 유지 보수가 가능합니다. 언어뿐 아니라 환율, 현지 시각, 단위 등 사용자의 국적 및 지역에 맞춰 서비스가 구성된다면 고객의 편의성과 이용 만족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용자 정보 및 행동 분석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층의 분석입니다.

단순히 편리한 서비스 제공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성별, 연령대, 관심사 등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의 주 타깃층 분석을 진행하거나, 이용 시간대, 재방문, 체류 시간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 행동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전략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거나 서비스 고도화에 활용한다면, 고객들에게 익숙하고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장치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비콘, NFC, RFID 등의 하드웨어 장치들이 있습니다.

비콘(Beacon)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근거리의 스마트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비콘 기술을 이용하면 매장을 방문한 고객의 스마트폰에 할인 쿠폰 등 광고 목적의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비콘을 배치하여 대상자와 단말기의 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매장 내 이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자동으로 상품을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도 만들 수 있습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비콘보다는 훨씬 더 가까운 거리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상품마다 배치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인식하면 제품에 대한 설명이나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팔찌나 작은 액세서리 형태의 장치를 태깅 하여 결제나 재고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주문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한정된 수의 직원이 모든 고객을 응대할 수 없기에 방치되는 고객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객이 지루함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제품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비대면 주문 방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고객은 매장에 배치된 스크린을 통해 제품 프로모션 및 이벤트 참여, 개인 맞춤 큐레이션부터 제품 주문과 결제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장에 NFC나 QR코드 등을 배치하여 고객이 가진 개인 스마트폰으로 인식하여 비대면 주문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제품의 상세 정보와 재고 관리를 통한 품절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직접 확인하고 온라인 비대면으로 바로 주문 및 수령이 가능합니다.

Cases

아모레퍼시픽 뷰티셀픽

뷰티 셀픽은 여행객이 면세점에 방문했을 때, 본인의 스마트폰에서 스스로 주문을 넣을 수 있는 모바일 웹페이지입니다.

내국인은 간편히 온라인 면세점을 이용할 수 있지만 외국인 여행객의 경우 이용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를 위해 뷰티셀픽은 다양한 국적의 사용자가 방문하는 면세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며, 외국인 이용자가 직접 모바일 웹에 접속해 상품을 고르고 비대면으로 주문할 수 있는 기능을 강조한 서비스입니다.

다양한 국적의 사용자가 방문하는 면세점의 특성상 외국인 고객의 서비스 이용 측면을 고려하였습니다. 우선 각국 언어별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국어, 영어, 중국어뿐 아니라 베트남어, 태국어까지 번역된 내용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고객은 본인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선택하여 해당 언어로 된 상품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 상품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고객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객의 성별, 연령대, 국적(언어), 관심사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 상품을 추천해 주고, 많이 구매한 상품을 알려줍니다. 면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율 또한 중요합니다. 매일 변경되는 환율을 자동으로 계산해 주어 본인이 구매할 금액을 달러가 아닌 자국 화폐로 환산하여 알려줌으로써 이용 고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앱노트(이하 “회사"라 함)는 이용자(이하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관련 법규 상의 개인 정보보호규정을 준수하고 관련 법률에 의거한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회사 홈페이지(https://appknot.com)에 수립 및 공개합니다.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앱노트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한 수집된 모든 개인정보에 적용됩니다.
1.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홈페이지 내 프로젝트 문의]
  • - 문의한 프로젝트 내용 관련 연락 및 답변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
[홈페이지 내 프로젝트 문의]
  • - 필수 항목 : 이름, 소속된 기업명 및 직책,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 - 선택 항목 : 없음
  • - 수집 방법: Contact 페이지에서 프로젝트 문의글 작성
3.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1. 1) 입사지원 등에 관한 기록 : 5 년
  2. 2) 프로젝트 문의에 관한 기록 : 1 년
  3. 3) 그 외의 기록 : 3 년
4.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파기방법
회사는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되었거나 보유기간이 만료되었을 경우, 아래와 같이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1. 1) 전자적 파일 형태인 경우: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
  2. 2) 전자적 파일 외의 기록물, 인쇄물, 서면, 그 밖의 기록매체인 경우: 파쇄 또는 소각
5.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에 관한 사항
회사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처리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유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관리적 조치
  • -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및 관리에 필요한 절차 등을 마련하여, 정기적인 직원 교육을 통해 본 정책의 준수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문제가 발견될 경우 바로 수정하고 바로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 개인정보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자 및 업무상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가피한 자를 제한하고 별도의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조치
  • - 백신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 해킹 등 외부 침입에 대비하여 침입차단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물리적 조치
  • - 지문 인식, 사원증 인증을 통해 제한된 내부 임직원만 본사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인원 방문 시 반드시 인증된 임직원과 동행하고 있습니다.
  • - 본사에 임직원이 없는 경우 외부에서 침입할 수 없도록 시스템 경비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에 관한 사항
회사는 수집된 개인정보를 ‘1.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고지한 범위 내에서만 사용하며, 동 범위를 초과하여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공개/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아래의 경우에는 예외로 합니다.
  1. 1)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공유하는 것에 대해 정보주체가 사전에 동의한 경우
  2. 2) 법령의 규정에 의거하거나, 수사목적으로 법령에 정해진 절차와 방법에 따라 수사기관의 요구가 있는 경우
7.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정보주체 및 정보주체의 법정 대리인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본인 혹은 당해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가입 해지를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정보주체 본인 및 만 14세 미만 아동의 법정 대리인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권리 및 의무를 가지며 행사 방법은 하기와 같습니다.
  1. 1) 정보주체는 회사에 대해 서면, 전화, 전자우편, 팩스를 통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의 열람·정정·삭제 및 처리 정지를 요구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에 대해 지체없이 조치할 것입니다.
  2. 2)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회사는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해당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3. 3) 개인정보 열람·정정 등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 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해야 합니다.
  4. 4)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법령을 위반하여 회사가 처리하고 있는 정보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 해서는 안됩니다.
  5. 5) 행사 방법
    • - 전자우편 : contact@appknot.com
    • - 전화 : 02-702-5527
    • - FAX : 02-702-5528
8.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회사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관리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 장우용 대표 (knotter@appknot.com)
개인정보 보호 관리자 : 오정엽 팀장 (armand@appknot.com)

정보주체는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개인정보보호 관련 민원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관리자에게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회사는 신고사항에 대해 신속하게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
9.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 방침
  1. 1) 설치 근거 및 목적 : 본사 내부 보안, 범죄 예방, 시설물 안전, 화재 예방 등을 위한 감시 및 녹화
  2. 2) 설치 대수 : 총 3대
  3. 3) 설치 위치 : 본사 외부 출입구, 사무실 내부, 기업부설연구소 내부
  4. 4) 촬영 범위 : 본사 출입구 및 주요 시설물
  5. 5) 촬영시간 : 24시간
  6. 6) 보관기간 : 30일까지 보관
  7. 7) 관리 책임자 : 박경필 팀장 (sky@appknot.com)
  8. 8) 영상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사람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관리자, 영상정보 관리 책임자
  9. 9) 영상 정보 보관장소 : 서버실
  10. 10) 처리방법 : 보관기간 만료 시, 자동 삭제
  11. 11) 영상정보 확인 방법 및 장소 : 관리책임자에게 사전 요청 후 확인 가능
  12. 12) 정보주체의 영상정보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조치
  13. 정보주체는 개인 영상정보에 관하여 열람 또는 존재 확인 및 삭제를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영상정보처리기기 관리책임자에게 요구하실 수 있습니다. 단, 귀하가 촬영된 개인영상정보 및 명백히 정보주체의 급박한 생명, 신체, 재산의 이익을 위하여 필요한 개인영상정보에 한합니다.
  14. 13) 영상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성 확보 조치
    • - 내부관리계획 수립
    • - 접근통제 및 권한제한
    • - 영상정보의 안전한 저장
    • - 처리기록 보관
10.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사항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21년 08월 20일 고지 및 시행되었습니다.
- 개인정보 처리방침 버전번호: v1.0